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5

공유 가계부 앱 ‘같이가계부’, 구글 로그인 & 월간 통계 개편 소식 안녕하세요.같이가계부를 개발하고 운영 중인 개발자입니다. 오늘은 최근 적용한 구글 로그인 기능과 월간 통계 개편 작업에 대해,개발자로서 어떤 배경에서 이 기능들을 도입하게 되었고, 어떤 방향성을 고민했는지 간단히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로그인, 더 가볍고 빠르게 – 구글 로그인 도입 처음 같이가계부를 만들었을 때는 이메일/비밀번호 기반의 회원가입 및 로그인만을 제공했습니다.이 방식은 전통적이지만, 사용자 입장에서 보면 꽤 번거롭습니다. • 가계부 앱 특성상, 커플이나 가족이 초대 링크를 통해 바로 사용을 시작하고 싶은데… • 가입 화면에서 멈추는 경우가 꽤 많았습니다. • 특히 부모님 세대처럼 비밀번호 관리가 어려운 사용자 분들은 가입 과정에서 이탈하시는 경우도 있었고요. 그래서 이번에 구글 로그인을 도입.. 2025. 4. 3.
불편해서 직접 만든 공유 가계부 - 같이 가계부 가계부 앱을 개발하면서 가장 먼저 고민한 것은 **"사람들이 정말 편하게 가계부를 작성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이었습니다. 많은 가계부 앱이 존재하지만, 기능이 지나치게 많아 복잡하거나, 특정 기기에서만 사용 가능해 불편하다는 문제점을 발견했습니다. 우리가 만들고자 했던 것은 누구나 쉽게, 어떤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여러 사람이 함께 관리할 수 있는 가계부였습니다.모든 기기에서 끊김 없이 사용 가능해야 한다가계부는 하루에도 여러 번 작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기존의 가계부 앱들은 특정 운영체제나 기기에 종속적인 경우가 많아 스마트폰에서는 되지만 PC에서는 안 되거나, 반대로 PC에서 입력한 데이터를 스마트폰에서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습니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같이가계부는.. 2025. 2. 18.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Incognito) - 데이비드 이글번 "매달 책 한권 읽기"를 새해 목표로 정하고 나서 읽은 첫번째 책이 "Incognito: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였다. 평소에도 관심이 있는 주제였고, 어떻게보면 부분적으로 무의식적으로 직감하고 있었던 내용들이 근거와 함께 정리되어있어 완권을 하지는 못했지만.. 재밌게 읽었다. > 내용정리 세상에는 수없이 많은 일들이 매일, 매시간, 매초마다 일어난다. 이 수많은 일을 우리는 모두 다 알 수는 없을 것이다. 그렇기에 우리에게 필요한, 관심이 있을 법한 일만 정리해서 알려주는 것이 신문과 뉴스이다. 우리의 의식이 이 신문과 뉴스와 같은 역할을 한다. 즉, 우리의 의식은 우리의 뇌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들을 알지 못하며 활동 중 일부만을 전달받을 뿐이다. 지크문트 프로이트는 자신의 심리적 장애를 다.. 2025. 1. 30.
고급 자바스크립트 개발자되기! Proxy에 대해서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오늘의 5분개발지식라디오! 오늘은 일반적으로는 잘 쓰이지 않는 고급 자바스크립트 문법을 배워보려고 합니다. 어떤 개념인지, 어떤 용도로 쓸 수 있을지를 한번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Proxy에 대한 설명과 예제, 그리고 어떻게 사용할 수 있을지까지 쭉 달려볼 예정이니 끝까지 시청해주세요~ 먼저 단어의 어원을 알아보겠습니다. Proxy라는 단어의 번역을 보면 “대리”라는 뜻입니다. 단어의 뜻과 동일하게 proxy는 어떠한 객체를 “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xy를 어떠한 객체에 대해서 생성을 하면 타겟 객체의 속성에 대한 읽기, 쓰기 등을 대리해서 먼저 처리할 수 있습니다. 코드를 보면서 이야기하는 것이 더 빠를 것 같습니다. 위쪽의 target과 handler를 지나쳐서 프록시를 생.. 2023. 4. 30.
협업의 기본! Git 대표 전략 Git flow 안녕하세요 오늘의 5분개발지식라디오~ 오늘의 주제는 Git flow입니다.많은 기업들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git 브랜치 관리 전략인데요, 혹시 취준 중이시거나 입사예정이시라면 꼭 숙지하고 가시길 추천드립니다. 그럼 빠르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장 먼저 git flow를 구성하는 브랜치 타입들을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첫번째는 master 브랜치입니다. master 브랜치는 실제로 사용자들에게 서비스가 되고 있는 코드를 담고 있는 브랜치입니다. 따라서 master에는 검증이 완료되고 빌드 에러 등이 없는 상태의 코드가 들어있어야합니다. 일반적으로 master 브랜치는 오직 pull request 머지를 통해서 코드를 넣도록 설정하여 직접 푸쉬를 할 수 없도록 막아둡니다. 실제 사용자들에게 서비스가.. 2023. 4. 30.
React 신규 기능: Server Component 안녕하세요 오늘의 5분개발지식라디오~ 오늘의 주제는 지난번 영상에 이어 한번 더 React의 신규 기능에 대한 영상입니다. 오늘은 Server component에 대해서 알아볼텐데요, 아직 지난 영상을 보지 않으신 분은 우측 상단의 배너를 누르셔서 시청하고 오시면 훨씬 더 이해가 쉬우실 것 같습니다. 그럼 시작해보겠습니다. 서버컴포넌트는 예전 NextJS 영상에서도 언급한적이 있습니다. 서버컴포넌트 또한 서버사이드 렌더링, SSR을 고도화시키기 위한 기능입니다. 서버사이드 렌더링은 서버에서 작업을 마친, 즉 렌더링을 마친 페이지를 클라이언트에게 먼저 보냅니다. 이 페이지는 자바스크립트가 연결되지 않아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불가능한 상태인데요,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하는 과정을 한번 더 거치는데요, .. 2023. 4.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