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계부 앱을 개발하면서 가장 먼저 고민한 것은 **"사람들이 정말 편하게 가계부를 작성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이었습니다. 많은 가계부 앱이 존재하지만, 기능이 지나치게 많아 복잡하거나, 특정 기기에서만 사용 가능해 불편하다는 문제점을 발견했습니다. 우리가 만들고자 했던 것은 누구나 쉽게, 어떤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여러 사람이 함께 관리할 수 있는 가계부였습니다.
모든 기기에서 끊김 없이 사용 가능해야 한다
가계부는 하루에도 여러 번 작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기존의 가계부 앱들은 특정 운영체제나 기기에 종속적인 경우가 많아 스마트폰에서는 되지만 PC에서는 안 되거나, 반대로 PC에서 입력한 데이터를 스마트폰에서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같이가계부는 웹 기반으로 동작하면서도, iOS와 Android에서 앱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했습니다.
- PC 사용자를 고려한 웹 앱 구현
- 웹 브라우저에서 가볍게 실행되도록 반응형 디자인을 적용했습니다.
- 주요 기능은 클라이언트에서 실행되도록 최적화하여 불필요한 API 호출을 줄였습니다.
- https://gachibook.com에서 바로 접속 가능하도록 설정했습니다.
- 모바일 환경에서의 최적화
- 스마트폰에서는 네이티브 앱처럼 동작하도록 개발하여 앱에서도 웹과 동일한 경험을 제공했습니다.
- iOS와 Android 모두 지원하면서도 동일한 UI/UX를 유지하여 사용자가 기기를 바꿔도 어색함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가계부는 지속적으로 기록해야 의미가 있습니다. 하지만 기존 가계부 앱들은 너무 많은 입력 항목을 요구하거나, 복잡한 화면 구성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가 쉽게 지치거나 입력을 미루게 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UI/UX를 설계할 때 **"한눈에 이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장 중요한 원칙으로 삼았습니다.
- 필수 입력만 남기고 복잡한 항목은 최소화
- 날짜, 카테고리, 금액 입력만으로도 가계부를 쉽게 작성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 세부 사항이 필요한 경우에는 추가 옵션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단순 입력과 상세 입력이 공존하는 구조를 만들었습니다.
- 사용자가 빠르게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설계
- 월별 지출 내역을 달력과 그래프, 카테고리 파이차트 등으로 제공하여, 한눈에 예산과 소비 패턴을 확인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 카테고리를 원하는 순서대로 정렬하여, 사용자가 몇 번의 클릭만으로 원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최적화했습니다.







실제 재무 관리에 도움이 되는 기능 추가
가계부를 단순한 기록 용도로만 사용할 수도 있지만, 장기적인 재무 관리를 위해 필요한 기능들도 함께 고려했습니다.
- 카테고리별 예산 설정
- 사용자는 월별 예산을 설정하고, 카테고리별로 지출을 추적할 수 있습니다.
- 목표 예산 대비 실제 소비 금액을 비교하여, 계획적인 소비 습관을 만들 수 있도록 했습니다.
- 지출 할부 및 반복 지출 기능
- 한 번의 결제로 끝나는 지출뿐만 아니라, 할부로 나눠 결제하는 경우도 고려하여 각 월별 가계부에 자동으로 반영되도록 구현했습니다.
- 넷플릭스나 보험료처럼 매달 정기적으로 나가는 비용은 자동 반복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입력 부담을 줄였습니다.
- 연 단위 평균 소비 관리
- 연단위 소비와 저축률을 집계하여 평균을 산출하여 보여드립니다.
- 평균 값을 활용하여 새해 예산 설정 및 카테고리별 지출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가계부를 함께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
가계부는 개인이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가족이나 연인, 동거인과 함께 공유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하지만 기존의 가계부 앱들은 1인 사용자 중심으로 설계된 경우가 많아 여러 명이 함께 사용할 때 데이터 동기화가 어렵거나, 접근 권한 관리가 불편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같이가계부는 "공유 기능"을 핵심 요소로 포함하여 개발했습니다.
- 인원 수 제한 없이 여러 사람이 함께 가계부를 작성할 수 있음
- 개별 사용자의 입력 내역이 실시간으로 동기화되도록 최적화
이렇게 함으로써 가족의 생활비를 함께 관리하거나, 동료와 회식비를 정리하는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결론 – "같이가계부"가 해결한 것들
가계부 앱을 개발하면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했던 점은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가?"**였습니다. 이를 위해:
✔ PC, 스마트폰, 태블릿 어디서든 동일한 경험을 제공
✔ 불필요한 요소를 제거하고 직관적인 UI/UX 설계
✔ 예산 설정, 자산 추적, 할부 관리 등 실질적으로 도움되는 기능 추가
✔ 여러 명이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공유 기능 최적화
이러한 고민을 바탕으로 같이가계부는 단순한 가계부 앱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재무 관리 도구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개발되었습니다.
가계부를 쓰다가 번거롭거나 귀찮아서 포기했던 경험이 있다면,
이제는 같이가계부로 쉽고 편리하게 소비를 관리해보세요!